본문 바로가기

기타지식

[패스트캠퍼스] PM 강의 학습 후기

 

과정 설명

1. 이론

2. 서비스 기획 개론

3. 역기획 프로젝트

4. 앱 프로토타이핑

좋은점

 

1. 전액 무료다.

- K-디지털기초역량훈련이라고 해서 디지털에 대한 기초적인 역량 증진을 목적으로 국가에서 사업을 진행하며, 해당 과정이 그 수혜를 받아서 전액 무료로 교육을 받아 볼 수 있다. 주의할 점으로 10%인 금액을 먼저 결제하고 조건에 만족해야 환급할 수 있다가 있다.

 

2. 현직 실무진이 전하는 서비스 기획

- 대기업 N사, K사 등의 이력을 가진 IT 대기업의 실무진들로 강사진이 구성되었으며, 이메일+슬랙을 통해 질문을 받으며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다.

 

3. 100% 온라인 교육

- 동영상 강의와 실습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TV 보듯 틀어놓으며 볼 수 있고, 다시 볼 수 있어서 배우는 데 있어서 좋다.

 

아쉬운점

1. 실시간 반영이 어렵다.

예를 들어 쿠팡에 대해 이야기를 하자면, 최근 중국 쇼핑몰이 큰 화두가 되고 있는데 이 점은 반영이 어렵다.

 

추천

 

다음과 같은 분들에게 추천드립니다.

  • 좋은 아이디어는 많은데 방법을 잘 모르는 사람
  • 서비스 기획에 관심이 많은 사람
  • T자 인재가 되고 싶은 개발자(?)

학습내용

인상 깊게 들었던 내용을 적었다.

  • OKR (Objective, Key Result) : 이는 목표 설정 프레임워크입니다. 'Objective'는 목표를 의미하며, 'Key Result'는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달성해야 하는 핵심 결과를 의미합니다. 이 방법론은 단순히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, 그 목표를 실제로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단계를 설정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.
  • 와이어 프레임 : 이는 도형을 사용하여 화면 설계를 간단하게 표현한 설계도를 의미합니다. 와이어 프레임은 웹사이트나 앱의 기본 레이아웃을 표현하는 데 사용되며, 개발자와 디자이너가 프로젝트의 초기 단계에서 구조와 레이아웃을 계획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.
  • KPT (Keep, Problem, Try) : 이는 회고 방법론 중 하나입니다. 'Keep'은 계속하고 싶은 좋은 점, 'Problem'은 문제점, 'Try'는 개선하고 싶은 점을 의미합니다. 이 방법론은 팀이 프로젝트를 회고하고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지 결정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.
  • MVP (Minimum Viable Product) : 이는 '최소 기능 제품'을 의미합니다. MVP는 제품 개발의 초기 단계에서, 최소한의 기능만을 가진 제품을 만들어 고객의 반응을 테스트하고, 그 결과를 바탕으로 제품을 개선하거나 방향을 변경하는 데 사용됩니다.